[차이나워치] 동계올림픽 3주 앞둔 중국…오미크론 8개 지역 확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베이징 동계올림픽이 3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, 중국은 지금 확산하고 있는 오미크론 탓에 긴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강력한 봉쇄 정책에도 전염성이 강한 오미크론이 중국 내 8개 지역으로 번졌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자세한 소식 베이징 연결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임광빈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베이징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의 코로나 상황부터 전해주시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 방역 당국이 발표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무증상 감염자 42명을 빼고 201명입니다.<br /><br />해외입국자가 58명, 본토에서 확인된 확진자는 143명입니다.<br /><br />환진자가 급증해 일부 지역이 봉쇄된 허난성에서 가장 많은 98명이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 8일 오미크론 확진자가 처음 보고된 톈진에서도 34명이 확진됐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톈진발 오미크론 유입으로 의심되는 허난성 안양과 랴오닝성 다롄을 비롯해서, 현재 중국내 오미크론 유입이 확인된 곳은 모두 8개 지역으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톈진시 방역당국은 지난 9일과 12일 두차례에 걸쳐 약 1,500만명에 달하는 전 주민을 상대로 핵산 검사를 실시했는데요.<br /><br />1차 검사에서 77명, 2차 검사에서 44명의 확진자를 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방역당국은 확진자 가운데, 오미크론 감염자가 있는지 여부 등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런 가운데,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담당해 온 지역의 업체 책임자가 구금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는데, 구금 이유는 무엇인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엊그제(12일) 허난성 쉬창시 경찰이 한 코로나19 검사업체 책임자를 구금했습니다.<br /><br />혐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, "코로나19의 감염을 유발하고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행위를 했다"고 구금 사유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현지 매체에 따르면 해당 업체는 코로나19가 발병한 이래 정부의 핵산검사 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해 왔는데요.<br /><br />책임자의 구금 사실이 알려지면서 SNS에는 해당 업체가 핵산검사 샘플을 버리거나, 검사 결과를 조작했던 것 아니냐는 소문이 확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해당 업체는 이같은 소문에 대해 즉각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지만, 누리꾼들은 핵산검사 결과를 믿을 수 없다며 불신이 확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쉬창시 당국은 방역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13명에 대해서도 징계 처분을 내렸는데요.<br /><br />최근 코로나19 집단감염이 확산한 쉬창시에서는 도시 일부가 봉쇄되면서 주민들이 큰 불편을 호소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당장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3주 앞으로 다가왔는데요.<br /><br />안전하게 치를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많습니다.<br /><br />어떻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 당국은 오미크론이 확산하고 있지만 동계올림픽기간 충분히 통제가 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베이징 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는 이번주 초 브리핑을 통해 "지난 4일부터 실시한 소규모 폐쇄루프 운영이 전체적으로 순조롭다"면서 통제를 자신했습니다.<br /><br />폐쇄루프나 경기장 내에서 대규모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 한 현재의 방역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는데요.<br /><br />올림픽이 열리는 베이징에 대한 봉쇄 계획도 없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폐쇄루프는 경기장과 선수촌, 훈련장을 외부와 완전히 격리해 분리 통제하는 방식인데요.<br /><br />구간만 무려 200km에 달하는데, 장소를 이동할 때도 전용 버스만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.<br /><br />지난주부터는 올림픽 관계자와 자원봉사자 일부가 폐쇄루프에 들어가기 시작했는데요.<br /><br />1만9천명에 달하는 자원봉사자들은 다음 달 20일까지 폐쇄루프에서 임무를 수행하고, 올림픽이 끝난 뒤에도 방역을 위해 3주간 추가 격리를 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극단적인 방역 정책은 혀를 내두르게 할 정도인데요.<br /><br />선수단이 탄 차량이 혹시라도 교통사고가 날 경우 일반 시민들은 절대 접근하지 말라고 한 것인데, 중국 내부에서도 과한 조치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 "시민들은 가급적 사고 현장에 접근하지 말고, 거리를 유지하고, 구경도 삼가야 합니다. 그것이 시민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.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편, 미국 등 서방국가들은 중국의 인권문제를 들어 '외교적 보이콧'을 선언했는데요.<br /><br />신장 문제를 둘러싼 논란 계속되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영국 텔레그래프 보도에 따르면, 중국 선수단이 입게 될 유니폼이 신장에서 생산한 면화로 만들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텔레그래프는 신장산 면화가 이번 올림픽에 대해 서방국가들이 '외교적 보이콧'을 선언하게 한 요인이지만, 동시에 중국에는 애국심을 표현하는 상징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외교부는 신장산 면화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"비열한 조작"이라고 일축했는데요.<br /><br />왕원빈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 의원들이 중국 선수단이 신장에서 생산된 유니폼을 입는 데 대해 비판한 것을 두고 "중국에 대한 편견으로 일관하고 있다"고 강력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서방 국가들의 '외교적 보이콧' 속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할 뜻을 밝혔는데요.<br /><br />어떠한 정치적인 고려도 없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 "올림픽은 매우 중요한 행사입니다. 사람들을 하나로 모으고 평화를 증진하는 스포츠의 역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행사입니다."<br /><br />현재까지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아르헨티나 대통령, 오윤엔델 몽골 총리, 도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 등의 국가정상들만 참석을 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